본문 바로가기
생활법/직장·노동

알바 부당해고 기준 및 합의금 위로금 신고 방법

by 법맘 2025. 4. 27.
반응형

 

 

목차

     

    요즘 알바하면서 부당하게 잘렸다는 이야기, 심심찮게 들리죠?
    "알바니까 쉽게 자를 수 있다"는 건 정말 잘못된 생각입니다.
    아르바이트생도 엄연히 근로기준법의 보호를 받는 '근로자'예요.

     

    오늘은 알바 부당해고를 당했을 때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기준부터 합의금, 위로금 받는 법, 그리고 신고 절차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알바 부당해고, 어디까지가 부당한 걸까?

    부당해고정당한 이유 없이 알바생을 해고하는 것을 말합니다.

     

    ✅ 이런 경우 부당해고입니다!

    • 특별한 사유 없이 해고 통보
    • 작은 실수 하나로 바로 해고
    • 사전 경고 없이 갑자기 통보
    • 임신, 병가, 육아 등을 이유로 해고

    ✅ 꼭 알아두세요

    • 서면 통보 의무: 해고할 때는 사유와 날짜를 서면으로 통보해야 합니다. (근로기준법 제27조)
    • 30일 전 해고 예고: 30일 전에 통보하거나,30일치 급여를 지급해야 합니다.

    👉 만약 별다른 말 없이, 문자 한 통으로 "내일부터 나오지 마세요" 했다면?
    부당해고일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부당해고 당했으면 합의금, 위로금 받을 수 있을까?

    답은 "네, 받을 수 있습니다!"

     

    ✅ 받을 수 있는 금액

    • 부당해고 기간 동안 임금: 원래 일했어야 할 기간 급여
    • 위로금/합의금: 정신적 손해에 대한 보상

    ✅ 합의할 때 꿀팁

    • 구체적으로 요구하기: "정신적 피해까지 포함해 300만 원 요구합니다"처럼 정확히!
    • 서면 합의 필수: 구두 약속 NO! 반드시 문서로 남기세요.

    ※ 사장이 거부하면?
    👉 노동청에 진정 넣고 조정 요청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부당해고 신고하는 법, 어렵지 않아요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절차만 알고 차근차근 진행하면 됩니다.

    ✅ 신고 방법 3단계

    1. 관할 지방노동청에 진정서 제출
    2. 노동청 조사 진행
      • 사업주와 근로자 양쪽 조사
    3. 시정명령 or 금전 보상 명령
      • 부당해고로 인정되면 복직 명령 또는 보상 명령 나옵니다.

     

    ✅ 추가로 할 수 있는 것

    • 부당해고 구제신청 (고용노동위원회)
    • 민사소송 제기해서 손해배상 청구

     

    실제 사례로 쉽게 이해하기

    예를 들면,
    카페 알바를 하던 A씨가
    "가족 행사 때문에 주말 하루 쉬겠다"고 했더니,
    다음 날 "그만 나오세요" 문자를 받았다면?

     

    ➡️ 부당해고 소지가 충분합니다.
    ➡️ 노동청 진정 + 체불임금 + 위로금 청구 가능!

     

    부당해고 대응할 때 꼭 기억할 것

    ✅ 근로계약서 없어도 OK!

    • 출퇴근 기록, 문자, 급여 내역만 있어도 근로자 입증 가능합니다.

    14일 이내 구제신청 필수

    • 시간 지나면 권리 주장하기 힘들어져요.

    ✅ 감정적 대응 금지

    • 냉정하게 증거 수집 + 공식 절차로 대응하세요.

     

    정리합니다

    아르바이트도 "일"입니다.
    "알바니까 참자"는 생각은 이제 버려야 합니다.

    부당하게 해고당했다면

    1. 증거를 모으고,
    2. 노동청에 진정하거나,
    3. 필요하면 합의금을 요청하고,
    4. 끝까지 권리를 지키세요.

    법은 약자의 편입니다.
    여러분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꼭 필요한 권리는 당당히 행사하세요!

    🔥 핵심 요약

    • 알바 부당해고는 이유 없는 해고, 서면 통보·30일 예고 없으면 부당해고
    • 합의금, 위로금 청구 가능
    • 노동청 진정으로 간단히 해결 가능
    • 증거 확보 + 침착 대응이 관건

     

    반응형

    댓글